No Office for iOS

<편집자주> 민트기술에서는 외부 집필자의 도움으로 애플/맥에 관한 좋을 글들을 받아서,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하려고 합니다. 이번에는 이인배님께서 아이패드와 Microsoft Office에 관해서 글을 기고해 주셨습니다.
<기고자주> 이 글은 개인 블로그에 올렸었던 내용을 각색하여 기고한 것임을 밝힙니다.

Patrick Rhone 의 블로그 포스트 Microsoft’s Biggest Miss 는 ‘왜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의 iOS 시장을 피해 갔을까’ 라는 내용을 다룬 영문 기사이다. <편집자주>한글 번역된 내용은 알비레오 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편집자주> 마이크로소프트는 분명 소프트웨어를 하는 회사이고, iOS 의 파급 정도를 (예측하지는 못했어도) 후천적 수요와 시장성 때문에 한 번이라도 고려해 보지는 않았을까 하는 내용이다. 핵심이 되는 문단은 다음과 같다:

“Microsoft’s DNA is software. They are primarily a software company. The very name of the company is a mashup of microchip and software. And of all of the software they produce, one is more important than all the rest and a huge revenue source that the very livelihood of the company has come to depend on.”
“Are you thinking Windows? Wrong.”
“마이크로소프트의 핵심은 소프트웨어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우선적으로 소프트웨어 회사이고 말이다. 회사 이름 조차 (마이크로칩의 마이크로와) 소프트웨어의 소프트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그들이 만드는 모든 소프트웨어들 중 제일 중요하며 수익성이 큰 놈 하나가 있고, 회사가 그래서 그 소프트웨어 하나에 매우 크게 의존하게 된 것이 있다.”
“윈도우즈 라고 생각하는가? 틀렸다.”

일단, 저자의 주장하는 바가 진실인지를 확인하는 차원에서, 또 단순히, ‘자존심 또는 사업방침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든 개발하지 않겠다’ 라고 마음 먹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전제로, 정말로 그런 가치가 없다고 생각을 할 만한가? 라는 궁금증이 생겨서, 한 번 머리를 굴려 보기로 했다. 과연 마이크로소프트가 뭘 해서 제일 수입을 벌고 재미를 보는지 부터 알아 보는게 좋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발표 자료 (www.microsoft.com/investor) 를 토대로 직접 표를 만들어 보았다. (나라별 회사별 회계연도의 책정 기준은 틀리므로, 순수하게 2011년 전체를 4등분한 1~4분기를 기준으로 열거해 보았다.)
Microsoft’s Revenue in 2011, in $ Billions

2011 Q1 2011 Q2 2011 Q3 2011 Q4
Microsoft Business Division 5.25 5.77 5.62 6.28
Server & Tools business 4.1 4.64 4.25 4.77
Windows and Windows Live Division 4.45 4.74 4.87 4.74
Online Services Division 0.65 0.662 0.625 0.784
Entertainment & Devices Division 1.94 1.47 1.96 4.24
Total 16.43 17.37 17.37 20.89

눈대중으로 보면, 작년 전체 수입이 $71B, 오피스 계열의 대(對) 비즈니스 사업의 그것이 $23B 정도로, 약 삼분의 일을 차지하여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조사를 하기 전까지 오피스가 윈도우즈보다 사업성이 더 클 줄은 몰랐는데, 놀라운 일이다. 언뜻 생각하면 윈도우는 문틈에 발 들여 놓기 격인 것이고, 그 위에 얹는 소프트웨어로 더 돈을 많이 버는 것이니 재미있다.
자 이제 만일 마이크로소프트가 iOS 용 오피스 앱들을 만들어서 출시했다고 가정하면, 대략 이만큼의 수익을 올릴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이번에는 Horace Dediu 의 이 자료를 참고했다.) 역대 아이폰 누적판매 대수가 약 1.8억 대, 아이팟 터치가 7500만 대, 아이패드가 5500만 대 라고 한다. 실제 iOS 디바이스 사용자 수는, 아이폰 사용자 수와 아이패드 사용자 수의 합집합 X 천만 명, (중복 사용자를 배제해야 하므로) 이라고 쳐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실제 iOS 를 쓰는 사람이 누적 iOS 디바이스 판매대수의 1/10 이라고 치면, 아무리 잡아도 전세계적으로 대충 수천만 명일 것이다. 그 중 극히 일부만 오피스 앱을 구매한다고 치고, 1/10 을 잡아도 수백만 명이라면, 더 나아가 아주 소극적인 백만 명 이라고 치자. (Patrick Rhone 역시 자기 블로그에서 “I would guess in the millions” 라고 했다.) 그래서 그 사람들이 한 번씩 구매를 한다면, 앱 하나 당 (애플의 Keynote, Numbers, Pages 와 비슷하게 잡고) 10 달러 씩이라고 쳤을 때, 앱 당 수입이 $10M 정도 밖에는 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
물론 ‘앱 몇 개를 팔아서 얼마를 벌 것이고, 그게 꼭 얼마 이상이 되어야 가치가 있는 사업이다’ 외에도, 앱 개발의 당위성은 있을 것이다. 기존 오피스 사용 회사들이 “우리도 우리 직원들에게 아이패드로 회사 문서를 보게 해 주세요” 라고 강력하게 요구를 하거나 등. 또한, “나는 회사에서는 윈도우즈를 써야 한다고 해도 죽어도 개인적으로는 맥을 쓴다” 라거나, “블랙베리/안드로이드폰을 써야 한다고 해도 굳이 돈을 내고 아이폰을 쓰겠다” 라는 사람들도, Pages 혹은 Numbers 가 너무 안 맞아서 워드/엑셀을 쓰고 싶어 하는 사람도 꽤나 있을 법 하다 (본인도 그런 부류이다). 이런 저런 입장에서 보면, “맥용 오피스는 있으면서 왜 iOS 용 오피스는 없는 거지?” 라는 의문점은 섭섭함을 불러 일으킬 수 밖에 없다.
다시 원론점으로 돌아 와서, Minimal Mac 의 저자 Patrick Rose 가 지적한 내용이 진리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라는 조직은, ‘우리의 방식 말고는 아무도 진짜 업무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없다’ 라는 아집과 착각을 지니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이 기회를 놓쳤을 것이다 라는. 업계의 아는 사람은 알듯이, 그리고 잡스전기를 읽은 사람도 알듯이, 빌게이츠의 초기 사상은 Windows everywhere 였다. 운영체제 하나를 만들어 놓고, 이를 어느 제조사의 컴퓨터이든 탑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이러한 방향성은 지금 현재 정책과는 조금 상반된 것으로 보이고, 사용자들에게는 결국 불편하거나 아쉬움만 남기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Patrick Rhone 의 아내가 그에게 했던 문구를 그대로 인용하자면:

“You see, she said, missing all of the opportunities was just the start of a much deeper problem. Microsoft for many years had convinced the world that, in order to get “real work” done, you needed Office.”
“이건 깊이 생각해 보면 더 본질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수 년간 이 세상에게 “진짜 진지한 일, 즉 업무 관련 일을 하려면, 오피스 없이는 안 된다” 라는 인식을 심어 주었었다.”
“Then, she explained, the iPhone came. There was no Office. People got things done. Then the iPad came. There was no Office. People got things done. Android came. People got things done. All of those things that they, just a couple of years ago, were convinced they needed Office to do. They got them done without it. And thus, the truth was revealed.”
“그러던 어느 날, 아이폰이 도래했고, 오피스 없이도 사람들은 일을 할 수 있었다. 아이패드가 출현한 후에도 마찬가지였고, 안드로이드가 등장한 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불과 몇 년 사이에, 이러한 인식은 뒤집어 질 수 밖에 없었고,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에게는 불편한) 진실이 들어난 것이다.”
“Microsoft’s biggest miss was allowing the world to finally see the truth behind the big lie — they were not needed to get real work done. Or anything done, really.”
“And that will be what ultimately kills them.”

진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점 때문에 몰락할 것인지는 관심을 갖고 지켜 볼 일이다.

<편집자주> 본 컬럼의 내용은 민트기술의 의견은 아닙니다. 민트기술에 컬럼을 기고하실 분께서는 메일(wangsy@wangsy.com)로 문의 바랍니다.

왜 애플은 중국 노동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가?

<편집자주> 민트기술에서는 외부 집필자의 도움으로 애플/맥에 관한 좋을 글들을 받아서, 홈페이지를 통해서 제공하려고 합니다. 그 첫 컬럼으로 정일기님께서 애플과 중국 노동문제에 관해서 글을 기고해 주셨습니다.

 지난달 20일 중국내 Foxconn 공장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를 조명하며 뉴욕타임즈에서 중국내 애플 제품 조립업체인 Foxconn에서의 노동자들에 대한 처우를 다루었다. 이와 함께 여러 언론에서 애플의 공급업체인 Foxconn의 노동자들의 위험한 작업환경에서의 노동과 과도한 작업량으로 인한 노동자들의 처우가 세상에 알려지면서 애플은 세상으로부터 엄청난 질타를 받기 시작했다. 미국 내 노동자 환경을 위한 두 단체(Change.org, Sumofus.org)에서 사람들에게 서명을 받아 비윤리적인 공급업체들에게 애플이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청원서를 제출했고, 이에 애플은 외부기관인 공정노동협회(FLA)에게 이와 관련된 감사를 요청했으며, FLA는 Shenzhen과 Chengdu 공장들을 포함한 Foxconn 공장들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다.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성공적인 애플사의 밝은면 이면에 이러한 어두운면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면서 사람들의 많은 토론으로 이루어 졌다. 이러한 내용이 애플의 공급업체의 문제이지 애플이 직접 부당 노동행위를 하고 유독성 폐기물을 직접 버린것이 아니지 않느냐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왜 언론 및 노동협회에서 애플에게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지에 대해서는 3가지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1. 과거 나이키 사례와 같이 발주업체를 압박하여 영향력을 행사

  2000년대 초 멕시코에 있는 나이키 하도급공장에서 열악한 노동조건에 항의하던 직원들을 대량 해고하고 아동노동 등 인권유린 혐의도 받으면서 미국 내에서 나이키 불매운동이 거세게 일어났던 사태를 기억하시는 분도 있을 것이다. 멋지게 포장되어진 스포츠 스타와 용품들을 마케팅의 주 전략으로 삼았던 나이키의 이면에 과도한 노동환경과 고사리 같은 손으로 축구공을 꿰매야했던 아동노동의 존재는 지금 애플의 이슈와 같이 거센 여론을 형성하였고, 나이키뿐만 아니라 아이다스 등 생산업체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발주업체들을 압박하면서 노동자 처우개선을 위한 토론과 함께 협회 제정 및 공급업체의 요구기준 등을 정하게 되는 교두보가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기업과 경영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이 원하는 생산성과 속도에 모든 초점이 맞추어 지다보니, 노동력이 싼 저임금 국가로 생산시설들이 거의 대부분 이전되어 있는 상황에서 각 국가의 노동기준 및 환경보호 관련 법률 등이 서로 상이하다. 이런 다른 실정들 속에서 생기는 비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타국 내 법률적 기준이 우리의 실정과 맞지 않다고 비판을 가하고 변화를 촉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므로, 생산업체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발주업체들에게 처우개선을 위해서 노력하라는 압박을 가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애플이 발 빠르게 행동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미국 내 대선과 맞물린 경제부흥 주장

 스티브 잡스가 살아생전 백악관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IT기업의 대표들과 가진 만찬에서 애플제품의 생산시설을 미국 내로 이전하여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과 나눴던 대화에서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적이 있다. 이는 애플의 완벽한 품질 요구에 대응할 수 있으려면 높은 숙련도와 생산성 및 빠른 속도와 간결함이 필요한데 이를 미국 내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 등 제약요인이 너무 많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잡스와 애플의 입장에 대해 미국 근로자들과 지역사회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애플이 자국 내 고용에 인색한 이유는 생산성이나 숙련도 차이가 아니라 단지 비용 절감만을 고려한 결정이라는 것이다. 이는 애플이 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시설을 해외에 둠으로써 낮은 노동비용과 세금혜택, 위치 등의 3가지 요인에서 비용 절감의 효과를 거두어 전 세계적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천문학적인 이익을 거두어들인다는 것을 증거로 대며 애플을 비판하고 있다.

 더욱이 2012년 미국 대선에 따라 정치적 이슈를 부각시켜 여론의 공감을 얻기 위해 자국 내 부의 양극화와 국가의 경제불안을 타파하기 위해서 많은 이익을 내는 애플이 오블리스 노블리제를 실천하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국서 고조되는 노동력 착취 여론과 중국정부의 근로자 임금 인상과 근무환경 개선의 요구와 같은 해외생산 이점이 줄어들고, 24일 국정연설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이야기한 것과 같이 자국 내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창출하는 기업에게 적절한 보상을 하고, 해외 생산으로 인한 세제 혜택을 보는 기업들을 반대한다는 주장이 정치권에 더욱 힘을 실어주면서 언론에서도 중국에서의 애플제품 생산공정에 대한 노동문제에 대해서 집중적인 보도를 이끌어 이의 해결책으로 자국 내에 숙련된 노동력을 이용함과 동시에 국가 경제를 이끌어야 한다는 의도로 또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애플이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 관리

 국내에 아이폰이 출시될 당시에 애플의 간섭은 진저리가 날 정도로 꼼꼼했다고 뉴스가 났었다. 그만큼 애플이 브랜드 이미지에 많은 노력을 쏟아 부으며, 소비자에게 어떻게 인식되어지는 바에 매우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있는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물론 브랜드 이미지를 신경쓰지 않는 기업은 없겠지만 그동안 애플 소비자에게 어필한 Awesome하고 Cool한 브랜드 이미지에 악덕기업이란 오명을 쓰지 않기 위해서 특히 더 발빠르게 행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애플이 광고해 온 기술을 선도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신경쓰는 애플이 타겟이 된만큼 발빠르게 움직일 거라는 노동협회들의 기대도 반영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기업은 사회의 일부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힘, 규제적인 힘, 정치적인 힘에 영향을 받는다. 이 같은 것들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들이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항상 살펴보는 것을 간과한다면, 나중에 커다란 화를 자초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이야기한 3가지 측면이 필자의 개인적의 의견일 뿐이고, 그 외 우리가 알 수 없는 여타 다른 복잡한 이해관계 또한 존재하겠지만, 현재 세계적으로 어떤 기업이 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논의에서 패러다임의 중심은 항상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기업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이고, 이익이 많은 성공적인 기업이 밑받침되어야 하겠지만 경쟁에 이겨 성공함으로써 위대함을 얻을지언정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가 결여된다면 존경심이 잘 어우러지는 기업은 될 수 없다. 즉 제품이나 서비스, 고용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의 역할 모델로서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애플이 한걸음 더 나아가 지금의 큰 문제들을 어떻게 Awesome하게 풀어나갈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편집자주> 본 컬럼의 내용은 민트기술의 의견은 아닙니다. 민트기술에 컬럼을 기고하실 분께서는 메일(wangsy@wangsy.com)로 문의 바랍니다.